처벌의 목적은 사람들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사람들이 '적절한'행동을 하도록 도우려면 그들을 부끄럽게 해서 자신들이 얼마나 작고 보잘것 없는 '미물'인지를 깨닫게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신념은, 사람은 고통을 겪고 자기 자신을 미워해야만 배워서 나아질 수 있다는 관념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이 신념을 실현시키려면 좋다, 나쁘다, 옳다, 그르다, 비합리적이다, 무능하다처럼 판단하는 말들을 갖춘 언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 이 체제 안에서 살아가는 아이가 배워야만 하는 첫 번째 말은 "용서해주세요" 같은 말이다. 그 말을 할 줄 알아야 자신이 저지른 잘못을 이해하고 뉘우치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잘못했어요" 라고 말하도록 강요받은 아이가 정말로 타인을 더 잘 배려할 수 있을까? 말 한마디로 마술같이 치유가 일어날 리는 없다. 아이에게 잘못했다고 강요할 때, 우리는 그 말만 강요하는게 아니라, 진심이 아닐 때 그냥 말로만 잘못했다고 해도 괜찮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다. 다시 말해 거짓말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처벌과 보상이라는 개념은 우리 안에 정말 깊숙하게 내면화되어 있어서 다른 선택이 있음을 상상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그러나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어떤 일을 했을 때 슬픔과 실망스러움을 느끼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고 우리의 타고난 본성이기도 하다. 우리는 스스로를 비판하지 않고 슬퍼할 수 있으며, 이런 식으로 새로운 행동 방식을 배울 수 있다.
우리가 통제당하는 이유 :
지배체제의 사고방식
1. 도덕 판단과 static한 언어를 사용한다.
2. 인간이 자신의 행동을 선택할 능력이 있음을 부정한다.
3. '~ 할 자격이 있는' 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P.58 우리가 관찰을 해석과 혼동할 때 수치심, 죄책감, 분노가 끼어든다. 해석은 종종 다른 사람의 행동에 어떤 의도가 있을 거라는 생각을 포함한다.그런 해석은 다른 사람이 우리 내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의 원인이라고 믿게 만든다.
'나의 생활 >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는 진실이다> , 로버트라이트 (0) | 2023.05.01 |
---|---|
< 영화 리뷰 법> (0) | 2023.01.03 |